3.시험응시과정(필기)

 필기시험은 총 5번을 응시하여 5번만에 합격을 할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공부의 흐름을 잃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장기간의 싸움이다보니 중가에 흐림이 끊기게되면 다시 시작하는 것이 어렵고 노력을 2~3배 넘게 다시 해야합니다. 그래서 주중이나 주말에도 꾸준히 해야합니다. 이 과정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직장인들의 대부분은 이과정에서 포기를 하게됩니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계속하는 의지만 있다면 시간이 좀더 걸릴뿐이지 언젠간 합격을 할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중간에 포기하지 않도록 계속적으로 마인드 컨트롤를 해야합니다. (예를들면, 기술사 합격하면 승진을 하거나 연봉이 올라간다던지 아니면 좋은 직장으로 이직을 할수 있다라는 동기를 부여하게 되면 힘든 와중에서 힘이 날수 있을 것입니다.)

 

 총 5번의 필기 점수 변화는 아래와 같습니다. 

   119회차 (46점) , 120회차 (50점) , 122회차 (51점) , 123회차 (56점) , 125회차 (63점)

 

 

125회차 문항별 교시별 환산점수

 

아래는 마지막 시험에서 각 교시별 문항별 점수를 100점으로 환산하였을때 나타내었습니다. 아래 빨간색 점수가 평균 60점을 넘은 문항입니다. 아래 내용에서볼수 있듯이 모든 문항이 60점이상일 필요는 없습니다. 앞에 잘못작성하였다고 해서 포기할 필요는 없으며 자신있는 문항에서 좀더 신경써서 작성한다면 충분히 만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1~2교시를 마치고 나서 포기하고 가버리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절대 그렇게하면합격할수 없습니다. 끝까지 시험을 보고나서 결과를 확인하고 피드백해야 좀더 개선이 될 수있습니다.

 

 매일 아침출근 시간은 6시40분~7시00분으로 딱 입이트이는 영어가 시작하는 시간대입니다. 그래서 아침마다 차로 출근하면서 입이트이는 영어를 틀어놓으면서 운전을 합니다. 사실 운전을 하면서 라디오까지 청취하기란 쉽지가 않고 운전에 집중하다보면 놓치기 쉬운데그래도 매일 듣다보니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곤 합니다.

 

매달 발행되는 책도 있지만 그중 중요한 핵심 주제를 모아서 별도 판매를 하고있어 서점에서 발견하곤 바로 구매를 하게되었습니다. 중간중간에 QR코드가 있어 핸드폰으로 QR을 찍으면 음원을 바로 들을수도 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직장인 중에서 바쁜 업무 중에서도 시간을 내서 공부하시면 하나 둘씩 쌓여서 나중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영어 스피킹 초밀리언셀러
EBS FM 어학 방송 대표 스피킹 프로그램
13년간 출간된 〈입이 트이는 영어〉 150권의 핵심 중의 핵심!

시리즈 4권에 〈입트영〉 최고의 스피킹 주제 240개 엄선!
240개 스피킹 지문, 240개 대화문, 720개 스피킹 패턴을 수록!

EBS FM 중급 스피킹 진행자 이현석의 13년 원고 집대성!
〈입이 트이는 영어〉 단행본 시리즈는, 지난 13년간 〈입이 트이는 영어〉 월간지로 출간된 150권의 3,500개 주제 중에서 한국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 하고 영어로 표현하고 싶은 주제를 엄선해, 공들여 다시 집필한 최고의 스피킹 지문과 대화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직장인의 고민과 불만사항을 익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는데 "블라인드"라는 사이트입니다. 흔히 예전에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사용하였던 익명게시판과 유사한 개념입니다.

 

 

 

 익명게시판과 다른점은 완전 익명이 아닌 회사명이 나온다는 점과 회사를 인증할때 회사이메일을 거쳐서 인증하는 방식입니다. 회사마다 이메일 계정에서 @뒤에 회사이름이 나오고는 하는데 그 이메일을 사용하면 해당 직장인임을 알수있기때문에 그런 방식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삼성의 경우에는 xxx@samsung.com , 현대는 xxx@hyundai.com 를 쓰는 방식입니다.

 

 팀블라인드는 회사의 인사팀에서도 모니터링하여 문제점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를 한다고 합니다. 만약 누가 어떤 상사를 비방하는 글이 올라오게 된다면 인사팀은 조사를 하게되고  위와 같이 인증을 거친다고 하면 회사서버에는 기록이 남을 것이고 누가 가입을 하게되었는지 조사해 보면 알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완벽한 익명도 아닌듯 합니다.

 

 얼마전 회사에서 누굴 비방하는 일이 있었는데 실제 문제가 있긴하였지만 인사팀에서 누가 올렸는지 찾고 그 당사자인 분들도 누가 했는지 찾고 그런 소동이 있었는데 나쁜 비리를 고발하는 장점도 있긴하지만 회사내 직원간에 서로 조심해지고 자유롭게 얘기할수 없는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하여 그런점에서는 단점도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직장인들의 고민과 불만을 서로 나누고 위로하며 내부 비리등을 개선해준다는 장점도 있어서 결론적으로 직장인에게는좋은점으로 작용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